GTG사고력수학 송파영재센터 : 2025년에 달라지는 중1수학 내용정리 (2022년 개정 / 2025년 시행)안녕하세요~~ 송파영재센터 GTG입니다ㅎ GTG는 지난주 월요일(12월 2일)부터 새로운 1년, 그리고 또 새로운 3개월을 시작하는 1분기 수업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2025년에도 송파영재센터 GTG는 아이들이 실력을 올리고 공부하는 재미를 만끽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을 고민하고 생각해 내도록 지혜를 모으겠습니다. 오늘 중등부 블로그 포스팅은 2025년부터 시작되는 2022 개정 교육과정 중학교 1학년 수학의 목차와 내용 이고 2025년 중1 학생들부터 순차적으로 개정된 교과서로 공부를 하게 된답니다ㅎ^^ *** 2015 개정 교육과정 vs 2022 개정 교육과정 (중1 변화) *** 2025년 중1부터 시작되는 2022개정교육과정은 초등학교와의 연계성을 강조하여 내용 영역의 목차를 초등학교, 중학교를 통일 하였습니다. 또한 일부 내용의 변화 가 있습니다. 변화는 아래 표와 같습니다! 그럼 각 단원에서 학습하게 될 내용을 간단히 안내드리겠습니다ㅎ^^ 1. 수와 연산 수와 연산 단원에서 제일 먼저 나오는 내용은 소인수분해 에 대한 내용입니다. 소수와 합성수의 개념을 배우고, 수를 소수인 인수의 곱으로 분해하는 소인수분해를 배웁니다. 또한 최대공약수와 최소공배수 를 배우지만 2015개정 교육과정과는 다르게 최대공약수, 최소공배수의 활용은 삭제 되어 배우지 않습니다. 다음은 정수와 유리수 단원입니다. 초등학교에서 자연수와 분수의 사칙연산을 배웠다면 학교에서 연산의 메인은 정수입니다! 음수의 개념이 나오면서 정수의 사칙연산(+, - , ×, ÷)을 배우게 됩니다. 수직선 모델, 바둑돌 모델, 우체부 모델 등을 활용하여 이해하기 쉽게 수업할 수 있도록 구성되었습니다. 학생이 이해 후에 연산에 대한 많은 연습이 필요한 단원입니다! 2. 변화와 관계 변화와 관계에서 가장 먼저 나오는 것은 문자와 식 단원입니다. 초등학교와 다른 중학교의 가장 큰 특징 중 하나는 미지수(x)의 등장 입니다. 초등학교에서 □를 사용해서 나타냈던 부분을 중학교에서는 문자를 사용하여 나타냅니다. 문자를 사용하여 나타내면서 문자의 차수가 1차인 일차식이 등장하고, 방정식의 시작인 일차방정식 에 대해서 배우게 됩니다. 문자를 사용하면서 학생들이 혼란을 겪는 경우가 많습니다. 학생들이 방정식에 적응할 수 있게 많은 연습이 필요한 단원입니다. 다음으로 나오는 것은 좌표평면과 그래프 단원입니다. 이 단원에서는 2차원 평면을 x축과 y축으로 나타내는 좌표평면을 배우게 됩니다. 좌표평면 상에서 물체의 위치를 표시한 순서쌍과 좌표를 배우게 되고, 좌표평면을 통해 정비례, 반비례 그래프 를 배우게 됩니다. 3. 도형과 측정 도형과 측정에서 가장 먼저 나오는 것은 기본 도형과 작도 단원입니다. 도형의 기초인 점, 선, 면, 각을 배우게 되고, 도형 사이의 위치관계를 배우며 평행선 사이의 성질인 동위각, 엇각의 개념을 배우게 됩니다. 또한 눈금 없는 자와 컴퍼스를 사용하여 간단한 도형의 작도, 삼각형의 작도를 배우게 되고, 삼각형의 합동조건(SSS, SAS, ASA)을 배우게 됩니다. 삼각형의 합동조건은 중학교 2학년에 배우는 직각삼각형의 합동조건, 삼각형의 닮음조건, 외심, 내심 등에 활용되니 반드시 숙지하고 넘어가셔야 합니다! 다음으로는 평면도형의 성질 이 나오는데요. 다각형의 내각, 외각, 대각선의 개수에 대해서 배우고, 삼각형의 내각과 외각, 크기의 합을 배우게 됩니다. 또한 원에 대해서 중심, 반지름, 호, 할선, 현, 부채꼴, 중심각 등을 배우고 부채꼴에서 호의 길이와 넓이를 구하는 방법에 대해서 배우게 됩니다. 이 단원은 도형의 기초가 되는 부분입니다. 삼각형의 경우 중학교 2학년 도형의 성질 단원에서 중심적으로 다시 다루게 되고, 원의 경우는 중학교 3학년 때 원주각을 배우면서 집중적으로 다시 배우게 됩니다. 다음은 입체도형의 성질 입니다. 입체도형에서 다면체에서 면, 모서리, 꼭짓점에 대해서 배우고 각뿔을 자른 각뿔대, 정다면체, 도형을 회전하여 생기는 회전체, 기둥과 뿔, 구 등의 부피와 겉넓이를 구하는 방법을 배우게 됩니다. 겉넓이와 부피를 구해야 하기 때문에 많은 계산을 해야 하고, 공간지각 능력이 요구되는 단원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4. 자료와 가능성 자료와 가능성 단원에서는 자료의 정리와 해석 에 대한 단원이 나옵니다. 2022 개정 교육과정은 통계에 대해 강조하여 중학교 3학년에서 배우는 대푯값인 중앙값, 최빈값이 중학교 1학년으로 이동 하게 되었습니다. 이 단원에서는 대푯값으로 평균, 중앙값, 최빈값 을 배우게 됩니다. 또한 자료를 표현하는 방법으로 줄기와 잎 그림, 도수분포표, 히스토그램, 상대도수의 개념을 배우게 됩니다. 2015 개정교육과정보다 대푯값의 개념을 추가로 학습 하면서 다양한 통계 자료를 해석하는 방법이 늘어났으며 통계 포스터 제작을 하는 데 많은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많은 변화는 아니지만 초등학교에서 공부한 내용과의 연계성을 조금 더 강화하고 실생활에서의 수학의 활용도를 높일 수 있는 방향으로 개정된 교과 과정입니다^^ 개정된 교과 과정으로 공부하게 될 예비 중1 학생들에게도 송파영재센터 GTG가 최고의 파트너 가 될 수 있도록 잘 준비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출처: GTG사고력수학 송파영재센터 네이버 블로그
